안녕하세요! 아뵹승주입니다. 오늘부터 항공사고와 관련하여 글을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 항공사고 중에서도 "Early Analysis"카테고리는 최종 사고원인을 밝히는 단계는 아니구요, 사고 발생 후 예상되는 원인들을 정리한 글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의견들이 존재할 수 있는 점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2023년 6월 4일 일요일, 미국 플로리다 주 Melbourne Orlando International Airport(KMLB)를 이륙하여 테네시 주 Elizabethton Municipal Airport(0A9)를 경유하고 뉴욕 Long Island MacArthur Airport(KISP)로 향하던 Cessna 560 Citation V(N611VG) 자가용제트기가 워싱턴 상공 비행금지구역을 침범한 뒤 F-16 전투기(요격기)로부터 인터셉트 당한 뒤 아무런 반응없이 Geroge Washington Forest 인근 숲에 추락한 사고입니다. 해당 비행기에 조종사를 포함하여 총 4명이 탑승하고 있었으며, 안타깝게도 추락 후 전원 사망하였습니다.
해당 비행기는 조종사 한명이서 운용이 가능한 육상다발 제트항공기 입니다. 이 비행기는 높은 고도에서도 운용 가능하게 기내 여압시스템도 갖췄습니다. 미국 내에서 개인전용기로 많이 사용되는 기종이구요. 국내 뉴스에서는 해당 비행기를 경비행기로 많이 칭하고 있으나, ICAO(국제민간항공기구) 분류기준으로는 중항공기 중에서도 고정익항공기(비행기)에 속합니다.
*우리나라 항공안전법에는 항공기 기준이 많이 세분화 되어 있지 않습니다.
여러 가설들을 살펴보자면...
- 기내 여압시스템 고장
- 조종사 의식불명
첫번째 가설을 살펴 보겠습니다. 정상 작동하는 여압시스템을 갖춘 비행기는 승객 편의를 위해 평소 8,000 ~ 9,000feet 상공의 대기압으로 기내 압력을 맞춥니다. 비행 고도가 15,000feet든 35,000feet이든 상관 없이 말이죠. 이렇게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여압시스템으로 조종사 및 탑승객들이 높은 고도에서도 산소마스크 없이 편안하게 비행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압시스템 고장 시 기내 압력은 급격하게 떨어지게 되며 공기 밀도 또한 현저히 줄어들어 호흡 할 수 있는 산소의 양이 현저히 줄어들게 됩니다. 이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높은 고도에 의한 저산소증(Hypoxic Hypoxia)입니다.
고도에 따라 사람이 의식을 유지 할 수 있는 평균적인 시간은 고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줄어들게 됩니다. 이렇게 기내 여압시스템 고장으로 인한 저산소증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은 산소마스크를 즉각적으로 쓰거나, 낮은 고도로 최대한 빨리 하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해당 비행기를 조종한 조종사의 이력을 살펴보면 이미 항공사에서도 수십년간 대형 여객기를 비행해 온 베테랑 조종사로써 기내 여압시스템 고장으로 인한 저산소증에 대해 대처하지 못했을 가능성은 적을거라고 생각됩니다.
두번째 가설은 조종사 의식불명입니다. 해당 비행기의 비행경로를 살펴보면 원래 착륙하려던 뉴욕 롱아일랜드 공항에 착륙하지 않고 기존에 비행하던 기수를 180도 틀어 완전 반대 방향으로 비행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기존에 비행하던 반대 방향으로 틀게 되면서 백악관이 위치한 워싱턴 D.C. 상공을 가로지르게 됩니다. 아래 사진에서 보시는 것 같이 워싱턴D.C. 상공은 TFR(Temporary Flight Restriction; 임시비행제한구역)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특별한 허가 없이 절대 비행해선 안되는 공역이구요, 침범 시 인근 군기지에서 scramble(긴급출격) 전투기(요격기)가 아주 신속하게 따라 붙게 되죠. 그렇기 때문에 뉴스에서도 보고, 들으신 것처럼 인근 주민들이 전투기의 음속 충격파(소닉붐) 때문에 크게 놀랐다고 합니다.
긴급출격 항공기(F-16)가 해당 비행기를 인터셉트하기 위해 가까이 따라 붙었을 때 전투기 조종사가 관찰한 바로는, "조종사가 의식을 잃었다. 조종석 오른쪽으로 쓰러져 있다."고 합니다. 이 내용으로 보아 조종사 의식불명일 가능성이 더 크다고 저는 생각이 됩니다.
이렇게 두가지 가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항공분야를 공부하다 보니 가장 많이 접하는 소식이 아무래도 항공 사건사고인것 같습니다. 해당 사고로 인해 가족을 잃으신 분들께 조의를 표합니다. 앞으로는 항공사고가 줄었으면 하는 큰 바램입니다.
'항공|조종|관제|정비 > 항공사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Early Report | 미국 AOPA SVP의 안타까운 죽음... (3) | 2023.10.05 |
---|---|
Early Report | Small Plane Crash 20230804 (0) | 2023.08.05 |